반응형
전근대사 10 (구석기~조선후기 / 정치,문화 중요) 근현대사 10 (1863~2020 / 개항기,일제 4 , 현대사 2) 조선 후기 (1724~76)영조 -> (1776~1800)정조 -> 순조,현종,철종 - 세도정치시기(왕권력하락,외척통지기) *정치-비변사 장악, 군사 - 훈련도감 장악 *매관매직-관직 사고팜, 탐관오리-백성수탈 , 과기시험 부정행위 -> 백성들은 과도한 수탈당함 - 삼정의문란 (토지세(전정),군역세(군정),환곡제(환곡) ->백성들이 봉기 - 순조.홍경래의난 vs 철종.임술농민봉기 1811.순조시기-홍경래의난 1)평안도 차별대우떄문에 2)홍경래+백성 3)청천강 이북까지 장악했으나 1년만에 관군에 진압 1862.철종시기 - 임술농민봉기. (전국 농민) 1)진주농민봉기(백건당의 난) - ..
66강.신임사화~영조,정조의 업적 경종(1720~1724) 숙종 & 장희빈 아들 , 소론 지지 받음 경종시기 소론 집권 , 노론 탄압 ☆1721~1722.신임사화 (신축년,임인년) 소론 강경파 김일경 주도로 목호룡의 고변를 받아 노론세력이 역모 시도를 듣고 노론 4대신(이이명+@) 킬 -> 1724.경종사망 *사망이유가 불분명해 세제였던 연임군을 소론이 의심 , 노론이 반박. ->1724.연임군이 영조로 즉위 (숙종 & 숙빈 최씨(무수리출신) 아들) *살해 의심 , 천한 신분의 어머니에 대해 까이는 영조 , 노론이 백업. 영조(1724~1776) 노론이 집권 1)1728.이인좌의 난 - 소론강경파,청주에서 반란 *영조가 숙종의 아들이 아니다(어머니가 무수리) ,영조가 경종 시해 주장 ->1929.기유처분..
65강.환국정치의 전개 숙종(1644~1720) 환국정치. - 정치세력의 곱격한 변화 *1680.경신(남->서) ->1689.기사(서->남) ->1694.갑술환국(남->서) 1.1680.경신환국 남인 허적이 무단으로 왕실의 유악(천막,우산) 무단 사용 ->숙종이 허적에 분노 -> 허견의(허적아들) 역모 사건 연루 ->허적,허견 실각 -> 남인의 정권 상실 -> 서인의 일당전제화 -> 서인의 분열 (노론,서론) *분열 이유 1)남인 처벌에 대해 노론(송시열)- 강경 / 소론(윤증) - 온건 2)회니시비 - 송시열(회덕출신) vs 윤증(이성출신) *윤선거 + 송시열 = 친구(서인) / 윤선거+윤휴(남인) 친분 / 송시열,윤휴는 사이 안 좋음 -> 윤선거 사망 , 아들인 윤증(송시열제자)이 송시열에게 묘지문 ..
63강.붕당정치의 전개 1)동인-서인 -선조.1575.을해분당 - 이조전랑 임명권 선조집권시기 - 김효원이 이조전랑 추천받음 ->심의겸이 반대 ->반대이유 - 김효원은 윤원형의 문객 출신 ->심충경(심의겸 동생)이 추천받음 -> 김효원이 반대 ->반대이유 - 심의겸 동생이라서 동쪽사는 김효원 측근(동인) - 주로 경상도 출신(영남학파) *이황,조식,서경덕 / 척신(외척 정치참여)정치청산 - 적극적입장 vs 서쪽사는 심의겸측근(서인) - 주로 경기,충청도 출신(기호학파) *이이,성혼 / 척신정치청산 - 소극적 2)동인분열 - 1589.선조-정여립모반사건(기축옥사) *정여립 - 이이의 제자(서인출신) 였었음 ㄱ.동인으로 이적 후 이이 비판 ㄴ.대동계 조직,활동 - 외구 토벌 목적 -> 서인들이 정여립이 역모..
56강.공민왕의 개혁정치 공민왕 1351~1374.공민왕의 개혁정치 *상황 : 원,명의 교체기 1)개혁정치 실시 -> 왕비 - 노국대장공주 2)친원파 숙청 - 기철 (원의 (기)황후 오빠) 3)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4)쌍성총관부 무력 탈환 (친원파 조소생,탁도경 킬) - 유인우장군 활약 +(이자춘,이성계) 5)몽골풍 폐지 - 이연종의 의견 수용 6)신진사대부 대거 등용 *친명파 7)홍건적(한족반란군) 침략 ㄱ.1359.홍건적 1차 - 서경 함락 -> 정세운,이방실이 방어 ☆ㄴ.1361.홍건적 2차 - 개경 함락 ->목주(안동)로 도망(몽진) *거란 2차떄도 개경 털림 -> 정세운,이방실,최영,이성계이 개경탈환 ->1363.흥왕사의 변 -> 권.세(김용)가 공민왕 시해하려다 실패. 8)☆1366.전민변정도..
54강.원간섭기 고려 사회 *고려정부 - 대몽정책 '산성해도 입보 정책' - 산과섬에 들어가서 숨어라 *1270(개경환도)~1351(공민왕 즉위).원간섭기 고려사회 지배층 - 권문세족(친원파,부원배) 출신 - 문벌귀족,무신의 후예,환관(내시),역관(통역사),응방(매)관리 *역과 시험은 없지만 자체 선발한다. 1)영토상실 - 고려 영토 일부를 원의 직할령으로 삼음 ㄱ.쌍성총관부 - 1258.무오정변 - 함경도(화주) - 반환x - 1356.무력탈환(공민왕,유인우) ㄴ.동녕부 - 1270.개경환도 - 평양 - 반환 o(충렬왕) - x ㄷ.탐라총관부 - 1273.삼별초 진압 - 제주도 - 반환o(충렬왕) - x *일본 원정 ㄱ.1274.1차원정(충렬왕,둔전경략사설치) - 태풍으로 실패. ㄴ.1280.2차원정(..
50강.고려의 대외항쟁(1) 918~1392/고려의 대외항쟁 1)10c말~11초.거란족(요) *10c~11c동북아시아 정세 대외관계 친선 : 송+고려 , 송+여진 대립 : 송,고려vs거란 , *태조때 거란이 친선요구했으나 만부교사건으로 사이 안좋아짐 ->정종때 광군을 청천강에 배치해 거란 대비. ㄱ.993.거란 1차 - 성종 *고려가 계속 거란배척+친송정책하자 거란 소손녕장군이 고려침략 ->고려정부 의견대립 (할지론(고려영토일부 주자) vs 주전론(나가싸우자)) ->서희의 외교담판으로 (압록강부근)강동 6주 획득 & 거란퇴각 ㄴ.1010.거란 2차 - 현종 *고려의 약속 불이행으로 거란 불만 상승 + 1009.강조의정변 -> 거란의 침략 , 개경함락 / 현종 -> 나주로 피난 ->강동 6주 지역의 홍화진..
48강.무신정변(정중부~이의민) 1170.의종 - 무신정변 원인 : 무신 차별 대우 - 숭문천무(문신숭상) 1)과거응시에 무과 없음. 2)하급군인 -> 잡역 다수 3)문신과 월급차이 4)의종의 실정(문신우대) 전개 : 보현원사건 보현원에서 겨루기경기(수박회) - 장군(이소응) vs 병사 (승) - 젊은 문신 한뢰가 주관 , -> 이소응의 싸다구를 날리며 조롱 결과 - 무신정변 발발 *주도 - 정중부 + 이의방,이고 -> 의종 폐위 , 명종 옹립. *1170~1270.무신정권 (100년) 왕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고정 -> 원종 무신집권자 : 정중부->경대승->이의민 ->최충헌->최우->최항->최의->김준->임연,임유수 1.1170~1179 - 정중부 정치기반 -중방 군사기반 - 사..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