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방공무원/한국사 76

36강.후삼국시대 (1)

36강.후삼국시대 (1) 신라 bc57~676(통신)~935) 후삼국시대(900~936) 후백제(900~936) 건국.견훤(경북 상주(사벌주) 출신) - 아버지(아자계) ->전라도 지역 수비대장으로 부임해 세력을 키워 900.후백제 건국 수도 : 완산주(전주) 영역 : 전라도 일대. 외교 : 후당,오월,왜와 교류 후고구려(901~917) 건국:궁예 *신라 왕족 출신이었으나 배신당함 -> 반신라경향.(부석사 신라왕 초상화 훼손) 성장 : 강원도 호족 기훤의 부하 ->> 양길의 부하 -> 양길세력 장악. +왕건 부자와 결합하며 후 고구려 건국(901) 수도 : 송악(개성) 국정운영 : 광평성(행정관청) 설치- 시중:왕건 영역 : 황해도,강원도,경기도,충청도 + 전라도 나주(왕건이 활약). *후고구려 체재변화..

35강. 호족과 6 두품의 성장

35강. 호족과 6 두품의 성장 신라 말 신세력(호족)의 등장 신라 말 진골들의 왕위다툼이 이어지자 지방 세력(촌주)들이 중앙의 간섭에서 벗어나며 세력을 확장 -> 지역통치를 하는 호족으로 성장. +중앙에서 낙향한 귀족출신들이나 해상 무역,군인 세력도 호족으로 성장. 낙향귀족 - 궁예 해상무역 - 왕건 군인세력 - 견훤 *호족들이 자칭 성주,장군이라 칭하며 성장 ㄱ.관반제 운영(지역통치체제) ㄴ.사상기반 마련 -> ☆풍수지리설 , ☆선종불교 *신라말 승려 도선이 수용 , 자연환경이 인간에게 영향을 준다는 설.(장풍득수의 풍수) *선종 - 수행하면 깨달은 경지(부처) 도달 가능 / 촌주가 수행(참선)해서 왕 가능 *교종 - 왕 =부처 / 왕권강화 기여. *6두품 세력 신라 중앙의 귀족 신분 신라 중대 (무..

34강. 발해의 행정제도

발해의 통지조직 *중국 당의 영향을(3성 6부제 모방) 받아들이고 독자적으로 운영. 독자운영 ㄱ.정당성 중심 ㄴ.6부를 이원적(좌사정,우사정)으로 운영하고 , 유겨적 명칭으로 변경. 발해의 중앙조직 왕(=가독부) 3성 - 정당성+@ *수상(귀족대표) : 대내상(귀족대표회의) -> 중대사 논함. 6부 (좌사정 - 충,인,의 부 / 우사정 - 지,예,신 부) ㄱ.3부씩 이원적 운영 (좌사정,우사정). ㄴ.6부 명칭 ->유교 명칭사용 기타관청 주자감 - 국림대학. 중정대 - 관리 비리 감찰 *신라 사정부 , 발해 중덩대 사빈시 - 사신 접대 업무. *신라 영객부 , 발해 사빈시. 문적원 - 도서 관리 업무 빌헹의 행정 구역 수도 : 5경 - 동,중,상,서,남 경 지방 ㄱ.15부 - 지방관 : 도독 ㄴ.62주 ..

33강.삼국의 정치체제

33강.삼국의 정치체제 고구려 백제 신라 귀족회의 제가(평)회의 정사암회의(바위) 화백회의 * 만장일치 수장(귀족 대표) 대대로 (3c.국상,6c대대로,7c막리지) 상좌평 상대등 임기 3년마다 선출 관리 등급(관등) 10 or 14 등급 16 등급 17 등급 회의 참가 등급 5 관등 이상 좌평 이상 진골 이상.(1~5관등) 행정구역 중앙 : 5부 지방 : 5부 중앙 : 5부 , 지방 : 5방 중앙 : 6부 , 지방 : 5 주 지방관 파견(명칭) 욕살 방령 * 5방령 군주 *5군주 *지방관 임무 지방의 행정과 군사 업무를 겸해서 한다. 추가 *고구려는 유사시 중앙에서 (대모달,말계)관직이 병력 이끌고 파견 *고구려는 처려근지(욕살 밑단계 지방관) *백제는 방령이 700~1200명 통솔 *신라는 지방군 '6..

32강 . 문왕~발해의 멸망

32강 . 문왕~발해의 멸망 대흠무(문왕) , 대흥,보덕 대외관계: 당 신라와 친선관계로 전환. 1)당과 교류시작하며 선진문화 수용 , '발해국왕'이라는 칭호 하사. *대조영(고왕)은 '발해군왕'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발해 국호 사용 ㄱ.3성 6부제,주자감 수용 *주자감 : 발해 국립대학. *국립대학 : 고구려 : 태학(소수림왕) , 신라 :국학(신문왕) , 발해 : 주자감(문왕) ㄴ.벽돌무덤 양식 : 정효공주묘(문왕4쨰 딸) ㄷ.상경성(수도) 구조 -> 당의 장안성 모방 *내성,외성 / 주작대로 / 2) 사신교류,빈공과 응시 - 외국인 과거시험 3)교통로개설 ㄱ.신라도 (상경성~금성) *신라와 교류 *신라사신 백어,숭정 등 4)불교진흥 - 전륜성왕 자처 *전륜성왕 자처한 사람 : 백제 성왕 , 신라 진흥..

31강 . 발해의 성립~무왕

31강 . 발해의 성립~무왕 시조 : 대조영(고왕) 수도 : 동모산 기슭 ☆주민구성 : 고구려인(지배층,소수) + 말갈인.(피지배층,다수) *말갈인 : 고대(말갈) -> 고려(여진,금) -> 조선(만주족,청) *발해가 고구려 계승 증거 1)유사한 문화 : ㄱ.온돌,무덤양식(굴식돌방무덤) , ㄴ.불상,사찰,탑,기와 2)발해의 지배층은 다수의 고구려인 : 왕족(대씨) , 귀족(고씨) 3)일본에 보낸 외교문서 ㄱ,무왕 : 부여 전통계승 , 고구려 영토회복 같은 문구 존재 ㄴ.문왕 : 나 고려왕 대흠무는 우리 고려는~ 같은 문구 존재. *조선,고조선이 둘 다 조선인 것처럼 고구려 고려도 구분용으로 나눠둔 것. *발해를 우리역사로 인식한 서적. (고려) ㄱ.삼국사기 : 발해 기록 x , 고백신 만 있음. ㄴ.삼국..

30강.흥덕왕~경순왕

30강.흥덕왕~경순왕 *당 : 618.건국~-907.멸망) *장보고의 활동 국가 : 통일신라(흥덕왕 시기) 이름 : 아명(궁복,궁파) -> 성인(장보고) 신분 : 천민출신. 활동 : 신라-> 중국 당에 가서 군인으로 활약.(서주 무령군 소장) -> 신라에 귀국 후 흥덕왕에게 건의해 828.청해진 설치(전남 완도) 1)중개무역(당-신-왜) *무역선 : ㄱ.신라~당 : 견당사,견당매몰사 , ㄴ.신라~왜 : 회역사 2)왜구 소탕 - 남해 지배권 장악. 3)사찰건립 - 신라인 집단거주지(산둥반도,신라방)에 신라원(신라사찰) 중 하나인 법화원 건설. 4)일본 승려 엔민이 법화원에 지원받은 후. 기행문(입당구법순례행기)에 해당 내용 저설. 5)별명 : 청해진 대사 *846.장보고의 난(문성왕 시기) 원인 : 중앙정..

29강.선덕왕~현덕왕

29강.선덕왕~현덕왕 *신라하대 시작 , 내물(원성)왕계 진골이 왕. (150여년간 20명 왕 교체 , 왕권 약함.) 선덕왕 -> 원성왕 -> 현덕 ->흥덕->문성 ->진성여왕 -> 경애왕 -> 경순왕 선덕왕(김양상) *신라하대 시작 ☆원성왕(김경신,김양상 동생) *왕 즉위 과정 ㄱ.화백회의에서 선출 - 김주원(무열계) vs 김경신(내물계) ㄴ.김주원이 강물이 불었단 핑계로 강원도로 낙향 (무열계가 힘 빠져서) 1)780.독서삼품과 실시 ㄱ.필수 과목 : 효경 , 국학은 논어,효경 교육. ㄴ.귀족 이상 응시(4두품~6두품+진골) ->진골의 반발로 실패. *유학발전에 기여, 2)지방관 명칭 변경 : 군주(지증왕) -> 총관(문무왕) -> 도독.(원성왕) 헌덕왕(8c말~9c전) *김헌창(김주원아들) 정치적 ..

28강. 효소왕~혜공왕

28강. 효소왕~혜공왕 효소왕 (692~702) 1)시장 개설 소지왕 지증왕 효소왕 시장 최초개설 동시 +서시,남시 시장감독,관청 x 동시전 서시전,남시전 2)발해 대조영에게 5관등의 대아찬 수여. 성덕왕 (8c전반) 1)중국 당과 국교 재개 *신라와 당 관계 변화. ㄱ.진덕여왕 : 친선시작(648.나당동맹) ,태평송 올림 ,당 연호 사용 ㄴ.문무왕 : 나당전쟁(메소성,기벌포) ㄷ.성덕왕 : 친선재개 (정치,군사 교류) 2)당의 선진문화 수용 ㄱ.공자의 화상(초상화) 수용 -> 국학에 전시. ㄴ.'누각전'설치 -> 물시계 담당관청 ㄷ.백성에게 정전 지급. *국가 토지 지배력 강화. 3)당에 군사 지원 발해 vs 당 *발해 소속부족(흑수말갈) -> 당에 투항. ㄱ.전개 : 발해(무왕)이 당의 732.산둥반..

27강.문무왕~신문왕

27강.문무왕~신문왕 신라중대(무열왕계 진골) 무열 -> 문무 -> 신문 ->효소 -> 성덕 ->경덕 ->헤종 문무왕(김법민,661~681) 1)삼국통일 완성(676) ,통일신라 시작 2)승려 의상의 건의를 수용해 성 건설 중단. *민심수습정책. 3)지방관 명칭 변경 / 군주 -> 총관 4)관청설치 ㄱ.우이방부 *좌이방부는 진덕 ㄴ.선부(배만드는 곳) ㄷ.외사정부(=외사정) : 지방관리 비리 감찰. *사정부는 무열왕 떄 5)사망 - 화장(불교식 장례) ☆신문왕(681~692,7c 말) *왕권강화 추구 1)김흠돌의난(681) 진압 -> 왕비(김흠돌 딸) 폐위 -> 김흠운의(김흠돌 동생) 딸과 재혼 *김흠돌 ; 김유신 조카 금관가야계 진골,신문왕 장인어른. 2)국학설치(682) : 통일신라 국립대학 , 인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