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강.신라의 삼국통일(2) 1)살수대첩(612,수 양제) 2)연개소문 정변(642) - 신(선덕여왕)vs백(의자왕) (대야성전투) *김춘추 사위 김품이 사망 -김춘추의 정치적책임 *고구려,왜에 도움요청했으나 거절 3)안시성전투(645) 4)나,당동맹체결(648) - 나당연합군 , 신라(진덕여왕),당(태종,아들 고종) 5)백제멸망(660) -> 부흥운동 , 임존성(흑치상지,지수신),주류성(복신,도침,풍),백강전투(왜 지원) 6)신라 경주(수도)에 계림도독부 설치(663) *진덕(647~654) -> 무열(김춘추,654~661) -> 문무(661~681) 나당동맹 백제멸망 취리산 회맹 7)취리산의 회맹(665) - 당의 신라 회유목적. *웅진도독(부여융) + 계림도독(문무왕) 모아서 회유. 8)고구려 연개..
24강.신라의 삼국통일(1) ☆순서 문제(연도체크) 1)살수대첩(612,수 양제) 2)연개소문 정변(642) - 신(선덕여왕)vs백(의자왕) (대야성전투) *고구려,왜에 도움요청했으나 거절 3)안시성전투(645) 4)나,당동맹체결(648) - 나당연합군. 5)백제멸망(660) - 황산벌전투(김유신 5만vs계백 5천결사대) *당 (소정방) - 부여성함락,정림사지 5층탑에 낙서(평제탑) *의자왕은 웅진성으로 피신해 항전하다 체포되서 당으로 압송 -> 백제 부흥운동(660~663) ㄱ.임존성 : 흑치상지,지수신 -> 분열, 흑치상지-> 당에 투항 / 지수신 ->고구려로 도망 ㄴ.주류성 : 복신,도침,왕자(부여)풍. -> 분열 , 복신->도침킬,부여 풍이 복신 킬 이후 고구려로 도망. ㄷ.백강(금강)전투(663..
23강 고구려의 대외항쟁 *6c 말 ~7c 초 동북아시아의 국제정세. ㄱ.중국 - 수나라 건국(589) ->멸망(618) / 당나라건국(618) ㄴ.한반도 - 고구려 ,백제,신라 *가야는 신라에 흡수. ㄷ.왜 *십자형 외교정책 ㄱ.돟서세력 : 신라,수,당 ㄴ.남북세력 : 고구려+돌궐 + 백제+왜 고구려의 대외항쟁 고,수 전쟁 (518~614 총 4회) 배경 : 수가 위진남북조 통일(589) , 고구려 압박 전개 1)고구려(영양왕)이 요서 지방 선제 공격. *말갈병 1만 + 1차(598) : 고구려 영양왕 승 vs 수 문제(30만) 패 / 청야전술. *2차 직전 신라(진평왕)가 수에 군사요청 - 원광 걸사표 2차(612) : 고구려 영양왕 vs 수 양제(113만) : *성곽활용한 고구려 수비에 장기전양상 ..
22강 신라의 비석,가야의 성립과 발전 지증왕 ㄱ.포항 중성리비(501) *신라 최고 비석 ㄴ.영일 냉수리비(503) *절거리의 재산상속 재판. 법흥왕 ㄱ.울진봉평비(524) *율령반포 기록 ㄴ.영천청제비(536) *공역비(저수지 축조기록 진흥왕 ㄱ.척경비(국경표시) *단양적성비(551,야이차의 도움,한강상류 지역 진출) ㄴ.순수비(국경표시+민십수습,제사기록) 북한산비(555) -> 창녕비(561) -> 황초령비,마운령비(568) *고증 : 김정희 최남선 ㄷ.영환산성비(536 , 산성축조 공역비) *공역비 - 공공재 설치 관련. 진지왕 대구 무술령오작비(578) - 저수지 축조 공역비 진평왕 남산신성비(591) - 산성축조 공역비 *임신서기석 - 화랑의 유학공부 기록. -> 왕 x , 화랑 2명이 약속...
21강 신라 (진평왕~진덕여왕) 진평왕(6c후반 ~ 7c 전반) *즉위과정 진흥왕 ㄱ.동륜태자 -> 애 낳고 병사 , 애가 어려서 금륜이 즉위(진지왕) -> 폐위 후 금륜아들이 왕(진평왕) ㄴ.금륜 -> 왕 즉위(진지왕) 진지왕 폭군질하다가 화백회의에서 폐위당함. *성골 -> 진골로 강등 / 손자가 김춘추(진골됨) *성골만 왕 가능 진평왕.(6c후반 ~ 7c 전반) *동륜태자의 아들 1)불교진흥 *진종설 신봉 (진흥왕,진평왕) *진종설 - 신라왕실가문은 전생의 부처 집안. 2)승려 원광 활약 ㄱ.화랑 규율 제정 (세속오계) ㄴ.수나라에 군사요청문서 작성(걸사표) 3)관청설치 ㄱ.조부 ㄴ.예부 ㄷ.승부 ㄹ.위화부 ㅁ.영객부 : 사신접대 업무. *진평왕의 자식들(모두딸) ㄱ.천명공주 -> 김춘추 모 ㄴ.덕만..
20강.신라(법흥왕~진흥왕) 법흥왕(514~540 / 6c전반) 별칭 : 모죽지매금왕 1)병부설치(517) : ->군사력강화 2)율령반포(520) ㄱ.골품제 정비(신라 귀족 신분제) ㄴ.공복제정.(유니폼) / 자비청황 색 ㄷ.17관등제 정비 *율령반포 : 고구려 : 소수림왕 . 백제 : 고이왕 , 신라 : 법흥왕 3)대가야와 혼인동맹 체결(522) *신라 법흥왕 + 대가야 이뇌왕 4)울진봉평비 건립 (524) *율령반포 , 신라 왕도 6부 소속,노인법 규정(토착민이 신라 백성된 걸 규정) *얼룩소를 제사에 사용 5)불교공인(527) - 이차돈 순교 *고구려 -> 신라 민간 전래(눌지왕) , (국가)공인(법흥왕) *불교사상 ㄱ.윤회사상(전생,현생,내세) ㄴ.업설 ㄷ.왕즉본 6)상대등 설치(531) - 신라..
19강.신라의 성립과발전(소지왕~지증왕) 박혁(거) -> 남해(차) -> 유리(이) -> 내물(마) -> 지증(왕) 소지 마립간 1)신라 최초 시장 개설 2)6촌 -> 6부로 개편 (수도 행정구역) 3)우역제 - 교통로 개설. 4)백제와 혼인 동맹 체결(493) *신라 소지마립간 , 백제 동성왕 *신라왕족 이찬의 딸(공주)과 동성왕 결혼. *나제동맹(433), 혼인동맹(493) (신)눌지 + (백)비유 (신)소지+(백)동성 지증왕(501~514) 이름 : 김 (지도로,지철로) 1)국호결정 : 신라 (덕업일신 망라사방) 2)왕호변경 : 왕 사용(중국식 표기) *중국 문화 수용 = 한화정책 3)비석건립 ㄱ.포항 중성리(신라)비 (501) *발견된 신라 최고 비석,영토확장의미 ㄴ.포항 영일 냉수리(신라)비 (..
18강.신라의 성립과발전(박혁거세~눌지마립간) 마한 -> 백제 변한 -> 가야 진한 -> 신라 시조 : 박혁거세 (bc57,여섯촌장의 추대) 수도 : 경주(금성=계림) 신라의 왕호 변천 1)거서간(군장) :박혁거세 거서간(1대) 2)차차웅(제사장) : 남해차차웅(2대) 3)이사금(연장자) : 유리이사금(3대) ~ 16대 4)마립간(대군장) : 내물마립간(17대) ~20대 5)왕(중국식표기) : 지증왕(21대) 신라의 발전 내물마립간 1)신라의 고대 국가 기틀 마련 *고:태조왕(1c후반~2c) , 백:고이왕(3c) , 신:내물왕(4c) 2)왕위의 형제상속. (박,석,김 -> 김씨 왕 독점) *왕비족 -> 박씨 3)영토확장 : 낙동강 중상류 지역 차지 4)마립간 칭호 최초 사용. 5)고구려의 도움 - 중국 ..
30강.소방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보조자 특정소방물 관계인이 선임 30일 이내선임 (행.안령) 14일 이내 신고(소방본부장,소방서장) *보조인은 신고 일수 규정 없음 관계인과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1.소방계획서 2.자위소방대 3.근무자 및 거주자 교육 4.소방시설,피난시설,방화시설의 유지 및 관리 5.화기취급 감독 6.소방안전관리에 필요한 업무. 소방안전 특별관리 시설물 1.기반시설 (철도시설,도시철도,공항시설,항공시설) 2.지정문화재인 시설. 3.기술관련(산업단지,산업기술단지) 4.초고층건축물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5.수용인원 1000명 이상인 영화관 6.점포수 500개 이상인 전통시장 7.발전사업자가 가동중인 발전소 8.지하구 9.전략물자(석유비축시설,천연가스 인수기지 및 공급망) *소방안전관리..
17강.백제(3) 성왕~의자왕 백제발전 온조(건국) -> 고이왕(기틀마련) ->근초고왕(전성기),평양성전투)(371) -> 침류왕(동진불교) ->아신왕(노객,관미성전투,396) ->비유왕(나제동맹) ->개로왕(바둑),아차성전투(475) ->문주왕(암살) -> 동성왕(결혼) -> 무령왕(지방:22담로)-> 성왕(중앙:22부) 한성백제(bc18~475):온조~개로 웅진백제(475~537) :문주~무령왕 사비백제(538~660) :성왕~의자왕 성왕(523~554,6c) *수도천도&국호변경(538),체제정비,불교진흥,일본에 불상,불경 전래 1)수도 천도(538) : 웅진성(공주시) -> 사비성(부여군) 2)국호 변경(538) : 백제 ->남부여 3)체재 정비 ㄱ-중앙 관청설치(22부) , 내관(궁궐) 12부 ,..
16강.백제의 성립과발전(2) 침류왕~무령왕 근초고왕 침류왕(384 즉위,사망) 1)동진에서 불교 전래 (384) *수교는 근초고왕(372) *승려 : 마라난타 아신왕(4c(300년대)말) 광개토대왕에게 공격받음 - 관미성전투(396) *고구려에 복종 - '고구려의 노객이 되겠다' *한강 이북 상실. 비유왕(5c(400년대)전반) 1)나,제 동맹 체결(433) - 고구려(장수왕) 견제 목적 *신라 눌지 마립간,백제 비유왕 개로왕(부여왕씨 : 경) 1)고구려 승려 도림과 바둑 즐김 *장수왕이 파견한 첩자. ->도림이 꼬셔서 성 건설하는데 군사비용 탕진 ->도림 복귀 -> 장수왕 침공 ->개로왕이 북위에 사신파견 -> (개로왕)국서전달(북위에 고구려 공격 요청) -> 북위가 거부. -> 아차산 전투(475)..
15강.백제의 성립과발전(1) 온조왕~근초고왕 건국 온조왕 bc 18 (십제) 수도 :한성 (위례성) *백제 건국 세력 : 고구려 계통 이주민 + 한강 유역 토착민 *백제 건국세력이 고구려 계통인 증거 1)온조의 건국신화 2)백제의 문화가 고구려와 유사. 무덤양식(돌무지무덤) - 장군총(고구려),석촌동 돌무지 무덤(백제) 3)백제 왕조의 부여씨 사용 (경,창,융,풍) 경 - 개로왕 ,창- 위덕왕 , 융 - 웅진도독 , 풍-부흥운동주도. 백제의 발전 온조왕 건국 (bc18) / 수도 한성 고이왕 (3c 중반) : 1)왕위 형제상속,2)영토확장,3)목지국병합,4)체제마련 1)고대국가 기틀 마련(왕위 형제상속) 2)영토확장 : 한강유역 장악(중하류) , 황해도 진출 시도(vs낙랑,대방) 3)목지국 병합. 4)..
20강 소방활동,소방지원활동 공통점 - 소방청장,소방본부장,소방서장이 소방대를 지휘하여 하는 일. 1.소방활동 : 화재,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 발생 2.소방지원활동 (7) : 공공의 안녕,질서유지,복리증진을 위하여 하는 업무. 1)산불 - 예방 진압등의 지원활동 2)자연재해 - 급수,배수 제설 등의 지원활동 3)집회 - 각종 행사시 사고에 대한 근접대기 지원활동 4)화재,재난,재해 *피해복구 단계(직후x) 지원 활동 5)군,경찰 - 훈련 지원활동 ☆6)소방시설 오작동 신고에 따른 조치활동 7)방송제작 등 촬영 지원 활동 3.생활안전활동(7) : 신고가 접수된 생활 안전 및 위험 제거 활동.(화재,재난,재해 등 소방활동 제외) 1)붕괴,낙하가 우려되는 고드름,나무 등의 위험구조물 제거 2)벌 등의..
19강 불의 사용에 있어서 지켜야하는 사항,특수가연물, 저장,취급 특수가연물 품명 / 수량. 면화류 200kg .나무껍질 대패밥 400kg .넝마,종이,부스러기 1000kg 사류 1000kg 볏짚류 1000kg 석탄.목탄류 10000kg 가연성고체류 3000kg이상 가연성엑체류 2m세제곱 목재가공품,나무부스러기 10m세제곱 합성수지 *표면적이 넓어서 화재 발생시 진압 어려움 화재 확산속도 빠름 저장,취급 기준. - 대통령령으로 지정 1)품명,최대수량,화기취급금지 표지 설치 *살수설비,대형수동식 소화기를 설치시 수치 증가 가능 *석탄,목탄류는 발전용으로 저장하는 경우는 포함하지않는다 2)쌓는 높이 기준 : 10m 이하 ->15m 이하 3)바닥면적 ㄱ 50m제곱 이하 ->200m제곱 이하 ㄴ.석탄 목탄류 :..
14강 고구려의 성립과발전(4) 장수왕 ~보장왕 장수왕 (413~ 491 / 5c초~5c말) 이름: 고 거련. 영토확장 : 요동 지역 진출 , 유연과 연합 ->지두우 지역 분할점령 / 흥안령 일대 차지. 다면 외교정책 : 북조의 북위 , 남조의 여러나라와 교류. 남진정책 *수도천도 : 국내성 -> ☆평양성(427) *백제와 전쟁 / ☆아차산전투(475) - vs 개로왕(전사) 비석 : 충주(중원)고구려비(5c 후반) *내용 1)장수왕이 한강유역 이남 완전 장악 2)관리의 명칭 : 바우환노,사자 3)신라 내정간섭 : 신라왜금 장수왕 시기. (평양천도 이후) 지방에 사립학교 건립 (국내 최초 / 이름 : 경당) *지방에서 귀족자제,평민이 교육받음 / 한학,무술 교육 조사(장수왕 아들 사망) 문자왕(장수왕 손..
13강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3) 소수림왕~광개토대왕 소수림왕 (4c 후반) *고대국가체제 완성 중국 전진의 왕 부견의 도움. -> 전진에서 선진문화,불교 수용 / 전진과 수교(371) ☆업적 : 불교수용 , 태학설립 , 율령반포(3개 중 마지막) *불교 :전진의 순도 승려 , 최초사찰(초문사) 설립 *태학 : 인재양성 ,귀족자제 입학. ☆광개토대왕 (4c말~5c초 / 391~412 ) 이름 : ☆고 담덕 연호 최초 사용 : 영락 / 영락 1년 = 391 *연호 :황제의 즉위년을 기념하여 쓰는 이름) 영토확장 : 만주 지역 대부분 차지 -> 후연,거란,숙신 ,동부여 정벌 , 동예 완전 정벌(태조왕떄 양념) +한강 이북 장악 : 관미성 전투(396) 승리 - 백제(아신왕) 신라 지원(내물마립간) : 왜구 ..
주몽 -> 유리왕 -> 태조왕 ->고국천왕 -> 동천왕(3c) 동천왕(3c) *고구려위기 :서안평(요동) 지역 진출시도했다가 관구검(위나라)에게 털림. *졸본성 함락 , (옛)옥저로 피난. 위기수복 : 옥저의 장수 밀우,유우의 지원 / 평양성으로 일시 천도. 미천왕.(4c 전반) *을불설화 : 봉상왕시기. 봉상왕이 동생(돌고)살해 . 아들인 을불이 도망 / 왕자->노비->소금장수 왕실에서 국상 창조리가 봉상왕 시해 후 을불을 설득해 미천왕 등극 영토 확장 : 서안평 지역 차지 ,☆낙랑(마지막 한사군),대방 점령(313,314) *고구려의 남하 정책의 교두보 마련 고국원왕 (4c중후반) *고구려의 2차위기 (근초고왕) 1차) 340 / 전연(선비족)의 모용황이 부여,고구려 공격. -> 미천왕의 시신약탈 -..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1) 동명왕~고국천왕 고대 중앙 입권 국가 *왕에 권력이 집중 / 삼국시대(고,백,신) ~ 통일신라 -> 남북국(발해,통.신) 고대국가의 특징. 1)왕위의 부자 세습 확립 2)영토확장 3)불교 수용 $)부족장의 귀족화(왕의 신하로 삼음) 6)율령반포(법규) - 체제개편. 고구려 (Bc37 ~ 668년 멸망) 인원: 부여 계통의 이주민(주몽) + 압록강 유역의 토착민(소서노) 건국 : 주몽(동명왕) / 연맹왕국 수준 수도 : 졸본성(산악) ->국내성(유리왕 떄 천도) *유리왕 계승 과정 : 부여 부인아들(유리) vs 소서노 아들(비류,온조) *유리왕 : 황조가(유리왕 / 최초의 시) 지음 , 수도천도 (졸본->국내성) 태조왕 고구려 고대국가 기틀 마련. (왕위의 형제 상속 / 계루부..
15강 품사 - 조사,관형사 목적조사 : ~이,가 호격조사: ~야,아,이여 서술격조사 : ~이다 부사격조사의 의미상 구분 : 장소,소유 ~에서는 주격 조사 ~에서 와 구분 접속조사 -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조사. ex) ~와(과). ~하고 *~와(과)는 (부사)격조사 와 접속조사 존재 (구분 주의) 분리 o -> 접속조사(겹문장) ex) 국어와 한국사를 좋아한다. -> 국어를 좋아한다 + 한국사를 좋아한다. 분리 x -> 부사격조사(홑문장) ex) 철수와 영희는 닮았다 보조사 : 낱말에 특별한 뜻을 더해주는 조사. 특징 : 일정한 격을 갖추지않고 문장이 요구하는 격을 지닌다. 분류 : 은,는,도,만 은 여러 문장성분이 될 수 있다. (1)주어기능 내가(주격조사) 밥을 먹다 주어 나는(보조사)..
10강.옥저,동예,삼한 옥저 위치 : 함경도지역 (백두산(개마대산) 남쪽 + 동해안 / 평야지대 + 폐쇄적 지형(산맥에 둘러쌓임) 정치 : 철기지만 군장 국가 수준 / 군장(읍군,삼로,거수) / 제천행사 x (기록상) 고구려의 속국으로 조공을 바침. / 특산물,생산물 : 해산물(어물),소금 ☆민며느리제(조혼) -> 남편집 거주하다 성인되면 결혼. / 결혼시 남자가 장인에게 혼수 많이 줌 ☆장례 : 가족공동묘(골장제) : 사망시 시신 가매장 후 뼈 수습 -> 목곽(나무상자)에 안치. 멸망 - 고구려 태조왕 떄 복속됨. 동예 위치 : 강원도 일대(영서+영동+동해안 *옥저 밑) 정치 :군장국가 / 군장(읍군,삼로,후*옥저에도 있지만 99% 동예) 멸망 : 고구려에 복속 (태조왕 때 옥저 정복,동예 세미 정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