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9강 철기시대 (고구려) 고구려 위치 : 만주(일부 / 아래) + 한반도 일부 (서북부) - 압록강 유역 산악지형 -> 약탈 정치 건국 시조 : 주몽(부여인) -> 부여와 성향이 비슷함. 연맹왕국 - 왕 존재(1c) + 부족장 (상가,고추가) -> 5부족연맹체(왕권미약) *교체,죽임의 기록은 x 왕족 (계루부) + 부족장(절노부,순노부,관노부,소노부) *돌아가면서 하다가 계루부가 독점 시작 , 태조왕 떄 *백성계층은 같음 (가,대가 / 하호,민 / 노예) 정치발전사 주몽 건국(bc37) -> 고대국가 시작 -> 위기 -> 2차 위기 -> 전성기 -> 멸망 연맹왕국 수준 태조왕(1c말~2c초) 동천왕 고국원왕 광개토(4c) 나당연합군(668) 장수왕 보장왕 때 멸망 *장수왕 손자가 문자왕 / 아들은 아버지..
15강 . 품사 - 조사,관형사 3)3인칭 : 그이,저이,철수,영수 ㄱ.미지칭 : 대상의 이름,신분을 모를 떄 쓰는 대명사 / 잘 알지 못함(특정인o) ex) : 김 아무는 최 아무를 사랑한다. ㄴ.부정칭 : 특정 인물을 가리키지않는 대명사. / 잘 알지 못함 (특정인x) ex) 아무나 떠라 , 누구든지 와라 ㄷ.재귀칭: 주어를 도로 가리키는 대명사 (당신,저,자기) *직접언급 2인칭 , 다시 언급하는 거면 3인칭 재귀칭 ex) 당신을 사랑합니다(2인칭) / 해마다 할아버지꼐서는 당신 손으로 직접~ (3인칭) ex) 저는 당신을 사랑(1인칭) / 누구든지(부정칭) 제(저의의 약자) 자식을 사랑한다 (3인칭) ex) 자기는 날 사랑해?(2인칭,연인,부부) *논란중 / 철수는 자기자신을 사랑한다 (3인칭) ..
13강 품사 - 명사,대명사 품사(단어) / 9가지 의미 기능 형태 명사 체언 불변어 *조사 중에 서술격 조사(~이다)는 가변어에 속한다. 대명사 수사 관형사 수식언 부사 감탄사 독립언 조사 관게언 동사 용언 가변어 형용사 명사 의미 :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내는 단어의 묶음. 종류 1사용범위에 따른 분류 : 고유명사,보통명사 *고유명사(특정사람이나 특정 사물에 붙는거 / 하나에만 존재 / ex) 북한산) *보통명사(일반적인 경우 / 여러개 존재 ex)해,달,별,바다) 2.자립여부에 따른 분류 1)자립명사 : 문장에서 다른말의 도움을 받지않고 여러성분으로 쓰이는 명사. ☆2)의존명사 (종류 구분 필요 x , 어떤 것들 있는지 대충 알아두기) *로마자 표기,띄어쓰기에 나옴 ex)나는 일을 한다 그런데 나는 ..
8강 철기시대 여러나라 구 -> 신 -> 청 -> 철기 평등 평등 계급 멸망 무리 씨족,부족->군장 식민지 - 해방 -> 연맹왕국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마 진 변 부여 위치 : 만주 송화강 유역. -> 동이 지역에서 가장 넓음. 정치 : 연맹 왕국 형태. -> 왕과(1c) 부족장들 존재. *5부족 연맹체 / 왕 + 4개부족(마가 우가 저가 구가) - 독자적 통치지역(사출도) 존재. *왕권미약 : 전쟁패배,재해(홍수,가뭄),전염병 시 왕 교체,살해. 4대 금법 1)살인죄 : 사형 + 살인자 가족 노비로 삼음 / 연좌제 적용 2)절도죄 : 12배로 배상 / ☆1책 12법 3)간음죄 : 사형 4)투기가 심한 부인 : 사형 -> 시신 산에 투기. / 가부장적 요소 부여의 신분구조 지배층 : 가,대가 (부족장)..
7강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2) 위만조선 (bc194~bc108) 위만 -> 자 -> 손자(멸망) 지리적 이점을 이용한 *중개무역 (중국 한 - 한반도 남부(진)) *철기의 본격적 전래 (최초 x) *철제 무기를 바탕으로 영토확장 -> 임둔,진번 지역 1.창해군 설치 원인 : 위만 조선의 속국 '예'(군상국가)의 군장 남려가 위만조선 배신 전개 : 남려 -> 한에 투항(항복,귀화) 결과 : 한이 '예'의 지역에 창해군 설치 (bc128) -> 위만이 창해군 폐지(bc 126) *고조선의 관직명 -> 상,대부,장군,박사,도위 (위만떄 다 있음) 단군조선 -> 위만조선 상,장군,비왕(관리임),대부 / 박사,도위(중국식 지방관) 2.섭하 사건 (bc109) -> 한나라 사신 피살 사건. *고조선 정벌 명분. ..
6강.고조선의 성립과 발전(1) 고조선 조선(bc2333) -> 조선(1392) *조선이 2개라 구분용으로 고조선이라 부름. 단군조선 / 위만조선 건국 : 단군왕검 / BC 2333 시기 : 청동기 시대(군장국가) . -> 철기시대에 망함. (bc108) 영역 : 요령(요동)지방 +만주지방+한반도서북부 (전체x) *영역 증거 : 비파형 동검 / 거친무늬 청동거울 / 미송리식토기 / 북방식 고인돌(남방식x) *고조선에 대한 기록(역사서) 1)중국 : 산해경.관자,사기(사마천) *산해경,관자가 최초 언급. 2)국내(단군신화 수록) : 삼국유사(단군신화 수록 최초) , 삼국사기(단군신화 수록x) , 제왕운기, 응제시주,세종실록지리지,표제음주 동국사략,동국여지승람,신증 동국여지승람 고조선의 사회모습 파악 단군신..
12강 음운론 - 첨가 수졍) 읊네 (5개) [음네] (4개) -> [읖네] *자.단 -> [읍네]*음.끝 - [음네] *비음화 불을 켰다 -> (켜+었+다) (불을 키다 없음 / 불을 켜다가 맞음) 사잇소리 ☆*사잇소리 출제율 높음 *조건많고 조건을 다 맞춰야함 , 하나라도 틀리면 성립 x , 예외도 많음(소방국어에선 안나옴) 1)합성명사(어근+어근) 일 떄 ,된 소리발음이나 ㄴ 발음이 나는 현상 (첨가) *어근 = 명사 *명사만 어근인건아니지만 소방에선 명사로만 나옴 (2) 발음 1)된소리발음 : 울림소리 + 안울림예사소리 (된소리되기 : 안울림 예사소리+안울림예사소리 였음) ex) 손 + 재주 [손째주] *된소리 발음 / 국+밥[국빱] *된소리 되기 2)ㄴ 발음 ㄱ - 뒷 말이 ㄴ,ㅁ일떄 / ex)..
11강. 음운론-탈락,첨가 넋없다 [넉업다] *자.단 -> [넉업따] *된소리되기 ->[너겁따] *연음 *겹받침 발음 정리. 1) ㄳ,ㄵ,ㄶ,ㄼ,ㄽ,ㅀ,ㅄ : 앞엣것 발음 ex) 넓다[널따] *ㄼ 예외/ 1)밟다[밥따].밟고[밥꼬],밟지[밥찌] / 2)넓죽하다[넙쭈카다] , 넓둥글다[넙뚱글다],넓적하다[넙쩍하다] (밟다,넓적 시리즈) 2) ㄺ,ㄻ,ㄿ : 뒤에거 발음 ex) 맑다[막따] , 묽다[묵따] *단 ㄺ뒤에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접사가 오면 [ㄹ]로 발음된다. ex)묽다[묵따] , 묽+개[물께] / 맑다[막따] ,맑+개[말꼐] 긁다[극따] - 긁개[글깨] / 흙[흑] - 흙+과[흑과] *과 는 조사라서 적용안됨 ㄶ,ㅀ의 발음 1)않다 - [안타]] *자음축약 2)않소 - [안쏘] *임의 작성 3)않..
10강.음운론 - 모음조화,축약,탈락 모음조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 *양성모음 :ㅏ ㅗ 계열(ㅑ ㅛ ㅒ ㅚ 등) / 음성모음 : ㅓ ㅜ ㅡ 계열 (ㅕ,ㅠ,ㅢ,ㅖ 등) *현대국어에서 모음조화가 규칙적이지 않음 (고전 문법에만 쓰임) 음운의 축약 (탈락아니고 합쳐진거임) 1)자음축약 : 예사소리 + ㅎ 와 만나면 거센소리가 되는 것. (ㄱ ㄷ ㅂ ㅈ + ㅎ -> ㅋ ㅌ ㅍ ㅊ) ex) 먹히다[머키다] / 닫히다[다티다]*축약->[다치다] 구개음화 / 잡히다[자피다] / 꽃히다[꼬치다] *ㅎ의 위치와 상관없음 / 좋다[조타] *주의할 것☆ :띄워쓰기 해도 적용됨 ex)낮 한떄[낟 한때] *음.끝 - [나탄떄] *축약 / 온갖 힘[온갇힘]*음.끝 -> [온가팀] *축..
9강 음운론 - 구개음화,모음동화 구개음화 : 입천장소리(ㅈ,ㅊ)로 만드는 것 끝소리가 ㄷ,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 나 반모음 ㅣ 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와 만나면 ㄷ,ㅌ이 구개음(ㅈ,ㅊ)로 바뀌는 현상. ㄷ,ㅌ + ㅣ(형식형태소) -> ㅈ,ㅊ *형식형태소 : 조사,어미,접사 (혼자 못 쓰는 애들) ex) 굳 + 이 -> [구지] / 같 + 이 -> [가치] / 해돋+이 [해도지] / 벼훑+이[벼훌치] 밭+이[바치] *구개음화 / 밭 + 을[바틀] *연음 / 밭+에[바테]*연음 밭+이랑[바치랑]*구개음화 , [밭니랑]*ㄴ첨가 -> [받니랑] *음절 끝소리 규칙 -> [반니랑] *비음화 붙 + 여[부쳐] *구개음화 -[부처] *표준발음법 5항(단모음화) 맏+형 [마텽]*자음축약 잔디[잔지x,잔디] * 한 음절..
18강. 소방력의 동원 . 화재예방조치.화재경제지구의 지정 2.소방력의 동원 해당 시,도의 의 소방력으로 원활한 소방활동이 힘들거나 국가적 차원의 소방활동일 떄 1)동원 요청 - 소방청장이 각 시도지사에게. 2)동원된 소방력의 지원,파견 요청 - 소방청장이 각 시도지사에게. 3)동원된 소방대원은 - 상황이 발생한 소방본부장,서장의 지휘에 따른다. *소방청장이 직접 소방대 편성시 - 소방청장의 지휘에 따른다. *발생한 경비의 부담에 관한 사항 - 대통령령(국고보조) *발생한 경비의 부담은 상황이 발생한 시,도에서 부담하는게 원칙 *동원된 민간인력이 부상,사망 등 시에도 시도의 의례에 따라 시,도에서 부담 화재예방과 경계 화재 예방 조치 (화재 발생전 대비) 1) 명령권자 : 소방본부장,서장 관계인에 대하여..
17강.소방용수시설 설치기준,응원 소방용수시설 설치 기준 / (소방학개론 26강 소방용수시설이랑 겹침) 1.공통기준 1)주거,상업,공업지역 - 수평거리 100m 이하가 되게 설치 2)그 밖의 지역 - 수평거리 140m 이하. 2.개별기준 1)소화전 - 지상식 / 지하식 *연결금속구 : 65mm / 상수도와 연결 2)급수탑 - *기준 급수배관구경 100mm이상 / 개폐 벨브(눈 높이) : 지상 1.5m(어꺠 높이) 이상 1.7m 이하(머리높이) 3)저수조 : *4.5 m 이하(낙차) / 0.5m 이상 (수심) / 60cm 이상 (흡수관 투입구 구경) *소방펌프차 접근이 용이 / 토사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상수도에 연결되어 자동급수. *지면으로부터 0.5m(무릎) / 1m(허리) / 2m(손 들어올린끝) ..
29강.계급 정년 연령정년,근속 승진 소방총감 - 정감 - 감 - 준감 - 정 - 령 - 경 - 위 - 장 - 교 - 사 계급 정년: 4 6 11 14 근속승진(왼
5강.청동기~철기 시대 (2) 토기 변화 (~토기) 신석기 덧무늬 / 이른민무늬 / 눌러찍기무늬 / 빗살무늬 청동기 덧띠새긴무늬 / 민무늬 붉은 간토기 / 미송리식(손잡이) 철기 덧띠 검은간토기 *미송리식토기는 양 옆에 손잡이 존재 / 고조선 세력범위 증거 청동기 신앙 : 선민사상 등장(천손사상) 예술활동 : '암각화'(바위그림) ex) 울산(울주)반구대 암각화 (동물그림 / 사냥기원) / 고령 양전동알터 암각화(기하학그림 / 농경풍요기원) 철기시대 ( BC 5 c 중국에서 철기문화 전래) *본격적인 보급은 BC 2 c 초 위만 떄 시작. / 철기시대 떄도 청동기 사용함.(제사도구로만 씀) 한반도 독자적 청동기 변화 : 비파형 동검(무기) -> 세형 동검 / 거친무늬 거울(제사도구) -> 잔무늬거울 *거..
4강 청동기~철기시대 (BC2000~1500 ) 1세기(1c) = 100년 / 100자리 +1 = 현재세기 0~100 = 1c -> 100~200 2c -> 200~300 3c ~30 전반 / 30~60 : 중반 / 60~99 : 후반 / 말 도구 : 청동기(무기,의식용도구/구리+아연) / 발달된 간석기 (농기구 -☆반달돌칼,바퀴날도끼,옴자퀴) *청동기는 북방(시베리아)에서 우리나라로 전래됨 / 철기는 중국에서 옴. *무기 :비파형동검 / 의식용도구 : 거친무늬 청동거울 , 청동방울(팔주령) *청동기는 농기구로 사용 x *벼농사 시작하면서 농경,목축 비중(그래도 밭농사 메인) up & 사냥채집어로 비중 축소 유적지 : 부여 송국리 , 여주 흔암리 , 서천 화금리 , 순천대곡리 사회생활 : 사유재산 존재 ..
3강.신석기시대. 도구 : 간석기 / 가락바퀴&뼈바늘(옷,그물 제작-직조생활) / 토기(빗살무늬) 농경사회(밭농사,조,피,수수 등 잡곡,벼x) / 목축사회 정착생활 / 평등사회(연장자,경험많은 부족장은 존재) / 모계사회 / 족외혼(근친혼x) 유적지 : 황해도 봉산 지탑리 (탄화 좁쌀) 주거지 : 움집 (강가,해안가) / 반지하형 갈판,갈돌사용 (맷돌 원형) 신앙 애니미즘(자연물(정령신앙) - 해,달,별 숭배) 토테미즘 - 특정 동물 숭배(곰,호랑이) 샤머니즘 - 무당 - 굿,주술 조상,영혼숭배 *무당 - 치례걸이 두름(조개껍데기 같은 장식물) 패총 -조개더미 유적지 :서울 암사동(움집,빗살무늬/유일 패총x) / ☆부산 동삼동(패총o,흑요석기-일본 규슈산) *일본 교류 증거 김해 수가리 / 제주 고산리 ..
2강.구석기시대 선사시대의 생활 시대 구분 / 문자 사용 여부 (사용x - 선사(보통 구,신석기/ 사용 o - 역사 *보통 청동기부터/ 우리는 철기부터) 구석기시대 ( B.c 70만년 ~ BC 8000년) *현재 우리나라 기준임(가장오래된거 발견된게 단양금굴유적지) 도구 : 뗀석기 *가공기술 발달에 따라 구석기 전기,중기,후기(잔석기/중석기) 구분 전기 - 1 도구로 다용도 사용 / 주먹도끼- 사냥,조리,공구로 다 씀 중기 - 1 도구 1 용도 / 돌격지 사용 - 돌 조각 사용 / 용도별 도구는 안외워도됨 후기 - 1 도구 1 용도 / 돌날격지 사용 - 날카로운 돌 연결 / 슴베찌르게 - 이음도구 *해빙기 / 작은 애들 출현 -> 잡으려고 슴베찌르게 출현 생활(의식주) : 옷x(가죽만걸침) / 사냥채집어..
1강.역사의 이해~선사시대의 시작 한국사의 바른 이해 고려왕조,조선왕조 외우기 소방 - > 소방사 필수 : 국사,영어,국어 선택은 배점이 환산하면 70임. 필수과목 위주 공부. 전 근대사+근현대사 B,c70만년 전 / 1863년(흥선대원군/고종) 이후 근현대사. 전근대사 15 근현대사 5 / 소방은 반반 수준. 정치사 , 사회사(잘안나옴) / 경제사 / 문화사 사실로서의 역사 - 객관적 사실만 기록 기록으로서의 역사 - 역사가의 주관 들어감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보편성: 공통점(한자문화권) 특수성: 차이점(그 민족의 자연환경,인물성에 따라 설정됨) 우리나라 한중일 보편 : 한자사용 특수 : 중국 - 간자체 / 일본어 - 히라가나 / 울나라 - 한자 / 젓가락 길이도 다름 중국의 유학은 인 강조 / 한..
8강 음운론 - 음운의 변동 1.비음화 ㅂㄷㄱ(파열음) 이 ㅇㄴㅁ(비음) 으로 변경됨(조음방법의 변경) / 바닷가 -> 물놀이 조건 1)파열음(ㅂㄷㄱ) + ㄴㅁ -> ㅇ ㄴ ㅁ / ex)국민 -> [궁민] / 역횅동화 2) ㅁ ㅇ+ ㄹ -> ㅁㅇ+ㄴ / ex) 종료 -> [종노] / 순행동화 3) ㄱ ㄷ ㅂ + ㄹ -> ㅇ ㄴ ㅁ + ㄴ / ex)섭리 -> [섬니] / 상호동화 *바닷가 +ㄹ -> 물놀이 + ㄴ 이 되는게 비음화 2.유음화. 비음이(ㄴ) 유음(ㄹ)으로 변하는 것 (조음방법의 변경) ㄴ+ㄹ / ㄹ+ㄴ -> ㄹ + ㄹ 로 변경 ex)신라[실라] / 분류 [불류] / 대관령[대괄령] / 광한루[광할루] ex) 앓 + 는 [알는] *자.단 -> [알른] *유음화 유음화 현상의 예외단어 공권력[공..
7강 음운론 - 음운의 변동 *음운의 변동 1.교체 1)대체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 되기 2)동화 : 비음화,유음화,구개동화 / 비음화,유음화는 자음동화라고 했었음 2.축약 : 자음축약,모음축약 (학교문법에선 '반모음교체' 라고도함) 3.탈락 : 자음탈락,모음탈락,자음군단순화 4.첨가 : 사앗소리현상(ㄴ첨가) , 반모음첨가 (교재에는 'ㅣ 모음 순행동화'라고 설명) *변화의 필요성에 따라 *결정적변화 / 수의적 변화 결정적변화 : 일정 조건하에 필연적으로 변화발생 ex)국물 [궁물] *비음화 / 신라 [실라] *유음화 / ㄱ뒤에 ㅁ이 오면 ㅇ , ㄴ 뒤에 ㄹ 오면 ㄹ (예외없음) 수의적 변화 : 조건하에 임의적으로 변화 ex) 등불 [등뿔] / 김밥[김밥],[김빱] / 둘다 뒤에께 된소리 되야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