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자료,관련 기출문제를 첨부해서 공부했으나
저작권 관련 위배될 수 있어 뺴고 올리는 중
건축관계법령
방화구획
건축물 내부를 방화벽으로 구획하여
1)화재확산을 일정구역으로 제한.
2)연기확산은 제연을 시행하도록 소방법에 위임.
3)소화 작업 및 피난시간 확보.
*지하층 :해당 높이 절반 이상이 지표면 아래일 떄.
거실
거주,집무,작업,집회,오락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실
*전실
특정 구획된 실 앞에 놓인 공간
*건축물 정의 :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는것
+이에 부수되는 시설 : 대문,담장
*주요구조부 :내력벽,기둥,바닥,보,지붕틀,주계단.
내화구조 :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구조
방화구조 :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구조.
면적의 산정
건폐율 :건축면적/대지면적 x100
용적율 :연면적/대지면적 x100
층수산정 제외
(옥상돌출물,벽면적1/2 난간벽,지하층)
거실x인 옥상부분
12M 넘는부분만 삽입
건축면적⅛ 넘으면 전부 삽입(옥상도)
*층의구분이 명확하지않으면 4m마다 1층 취급
건물 붙어있으면 높은 층 기준 / 방화구획
건물전체로 연기,화재 확산 방지
내화적인 것 요구
방화구획 기준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 연면적이 1000m2 초과시
1)10층 이하는 1000m2 마다
2)11층 이상은 200m2 (내장재 불연재면 500m2)
*스프링클러 및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시 3배
*매 층마다 구획 / 올림계산.
방화구획의 구조
바닥,벽은 내화구조 , 문은 갑종방화문(자동방화셔터)
갑종방화문은 언제나 닫힌상태를 유지하거나 자동감지 닫혀야한다.
틈은 내화충전성능 인정한 구조로 매울것
환기,난방,냉방 등은 템퍼 설치.
방화문
갑종 : 비차열 1시간 , 차열 30분
을종 - 비차열 30분이상
구조 : 언제나 닫힌 상태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
설치 : 틈이생기지 않은 구조.
비차열 : 연기,화염만 막아줌 / 차열 : 열도 막아줌
방화셔터는 갑종방화문으로부터 3 m 이내 설치. (너비 0.9 / 높이 2m 이상)
*일체형은 별도 방화문 설치가 불가한 부득이한 경우에 설치.
*셔터는 연기감지기에 의한 일부폐쇄와 열감지기에 의한 완전폐쇄되는 구조.
*비상구 유도등 또는 비상구유도표지 설치
출입구 부분은 색 다르게
유효너비 0..9m, 유효높이 2m.
구획구분의 구조
내화구조의 바닥,벽 / 갑종방화문
자동방화셔터(국토교통부장관)
4층 이상인 공간에 대피공간 설치시 대피공간도 방화구획화.
'자격증 > 안전관리자 요약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안전관리자 1급 요점정리(6) (0) | 2021.01.29 |
---|---|
소방안전관리자 1급 요점정리(5) (0) | 2021.01.29 |
소방안전관리자 1급 요점정리(4) (0) | 2021.01.29 |
소방안전관리자 1급 요점정리(3) (1) | 2021.01.29 |
소방안전관리자 1급 요약 정리(1) , 주의점 (2) | 202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