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안전관리자 요약정리

소방안전관리자 1급 요점정리(6)

꾸준거북 2021. 1. 29. 21:32
728x90
반응형

소방시설의 구조 및 점검(스프링클러)

 

스프링클러

방수량 : 80

방수압력 : 0.1~1.2mpa

구조 : 후레임,디플렉터,감열체

 

습식 장점 : 공사비저렴 , 소화신속 

단점 :동결우려,수손피해

 

건식 장점 : 동결우려x 

단점 : 화재초기 압축공기에 의한 화재촉진 우려

 

준비작동식 

장점:동결우려x,헤드개방전 경보로 조기대처 

단점 : 감지기필요,구조복잡,2차배관 부실시공우려,고가

 

일제살수 (혼자 감열체 x / 개방형)

장점 : 초기화재에 신속대처 용이,높은 장소에서도 소화가능

단점 : 대량살수로 수손피해우려,감지기 필요

 

주위온도에 따른 분류 (121도)

 



저수량 (아파트 기준)

20층이하) n x 1.6 / 30층 3.2 / 50층  4.8

 

배관

가지배관 

헤드가 설치된 배관(개당 헤드 8개 이하 )

토너먼트방식이 아닐것(압력손실최소화)

 

교차배관 :가지배관에 급수하는배관(수평 또는 밑에 설치)

 

계통도,작동순서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점검

 

점검시확인사항

감시제어반(수신기)확인사항

화재표시등,해당구역 밸브 개방표시등 점등 확인

해당방호구역,소화펌프 자동기동여부확인

 

준비작동이랑 일제살수는 동일한데 준비작동이

감열기가 없어서 해드개방,방수이다.

 

준비작동식 점검

준비) 음향장치정지,2차측 개폐밸브 잠금(위), 배수밸브 개방시킨 채로 점검

 

작동 *5가지 중 어느방법으로 해도 동작해야함

1)감지기 2개 회로 작동

2)SVP(수동조작함)의 수동조작 스위치 작동

3)밸브자체에 부착된 수동기동밸브 개방

4)감시제어반(수신기)측의  수동기동스위치 작동

5)수신기에서 동작시험 스위치 및 회로선택 스위치 작동

 

확인사항

A 또는 B 감지기 작동시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점등

경종 또는 사이렌 경보

 

종류

습식(폐쇄형) : 1차가압수,2차가압수



펌프 성능시험시 주의사항

성능실험시 유량계에서 작은 기포가 통과하지않게주의(정확한 유량측정 곤란)



자탐설비

 

☆경계구역

 

수신기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않을 것

2개의 층에 미치지않을 것(500m2이하의 범위에선 2개의 층을 하나로 본다)

하나의 면적은 600이하 , 한변의 길이는 50 이하 *지하구는 700

 

설치기준

4층 이상 대상물은 발신기와 전화통화가능한 수신기 설치

바닥에서 0.8~1.5m

상시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

 

발신기 설치기준

높이 동일 , 수평거리 25m

작동방법 : 발신기 -> 수신기 -> 동작표시등 점등

 

*☆평가문제

화재시 수신기로 달려와서 어디구역인지 판단 (몇층화재인지,발신기인지 감지기인지)

-> 화재현장으로 이동해서 확인. (발신기 불 오나 확인,발신기 오면 가고 아니면 감지기 가서 )

-> 오동작이면 주경종(해당 층 소리끄기),지구경종(다른 층 소리끄기) 눌러서 소리 끄기.

*주경종,지구경종이 눌린상태라 스위치 주의가 표시 됨 (*지구경종이 눌린 상태에 표시)

*발신기면 해당 현장가서  버튼 눌러서 신호 꺼 줘야함.

-> 불을 꺼 줌 (수신반 복구 / 복구버튼 누름.)  

*바로 복구버튼 누르면 화재,1층 버튼도 꺼지긴함

-> 누른 버튼들을 다 뺴줌 / 음향복구 *스위치 주의 빠진거 확인.

 

*오동작 감지기: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연기 또는 먼지 떄문에 비화재보 방지용.

평소에는 축적위치이지만  시험할 때 축적을 비축적으로 해둬야 빨리 시험 가능.

 

감지기 / 발신기

*감지기는 화재, N 층 2군데 표시

*발신기는 화재, 1층,발신기 3군데 표시

 

도통시험(통하는지 안통하는지)

1 도통시험 누름~ (단선표시,스위치 주의 뜸)

2.N 층 버튼 누른 후 정상,단선 확인

전압계 : 4~8v

 

예비전원 시험

1)예비전원 시험 스위치 누름   

*스위치고장나면 점검x

(10초 정도 누르기 / 교류전원 꺼짐,전압지시 표시)

*예비전원에 불들어오면 소켓불량,베터리 불량 중 1개.

전압계 : 19~29v (1980년대)

*22v이하(노랑,낮음),24v(녹색,정상)

26v(빨강,높음)

 

R형 수신기 점검 - 컴퓨터

*컴터라 알아서 함. / 비용 비쌈

 

감지기

차등식 : 온도(열) 차이감지 , 다이아프램 

정온식 : 일정온도 , 바이메탈

감지기 설치 유효면적 (올림)

 

☆유효면적

 

*보상식도 차동식과 동일

 

경보방식

전층경보(아래 제외)

발화층 , 직상 발화경보 :(지하층제외)5층 이상 & 연면적 3000 초과

발화층 및 지상 4개층 경보 : (지하층제외)30층 이상 건축물

*시각경보장치 : 바닥에서 2~2.5m

(천장 2m이하면 천장으로부터 0.15m아래)

 

감지기 배선방식 : 송배전식(도통시험원활)

 

☆가스계 소화설비

 

비화재시 조치방법

수신기 확인 -> 해당구역 이동해 화재여부확인 -> 음향장치 정지 -> 비화재보 원인제거 -> 수신기 복구 -> 음향장치 복구 -> 스위치 주의등 확인

 

*각층설치 ,수평거리 25m

음향장치 : 1 m 떨어진 곳에서 90db이상

비상방송설비 스피커설치기준 :  실내 1 w . 실외 3w 이상

 

증폭기,조작장치

상시근무장소,점검편리,방화상유리,0.8~1.5m

 

피난 구조설비

피난용트랩 : 다중이용업소 사용x

완강기 : 노유자,의료시설 x

간이완강기:3층이상 숙박시설 객실만,*재사용x

공기안전매트 : 공동주택

인명구조기구:방열,방화복,공기호흡기,인공소생기

 

비상조명등 : 각 부분바닥에서 1w이상 

유효기간 : 20분 *60분 이상 : (지하층제외)11층이상,무장층,도소매시장,지하층

 

☆유도등

피난구 유도등(출입구 위) -> 피난구,출입구 표시. / 화살표없음.

통로유도등(1M) -> 피난구의 방향 명시.

객석유도등(바닥) -> 얘도 방향 소개.

 

유도등 점검

3선식 : 절환 스위치 확인.

*점등은 감지기,발신기,경보설비 작동시 , 정전,단선시 등

 

2선식 - 상시 켜져있어서 꺼져있으면 비정상,켜져있으면 정상(꺼두면 충전x)

 

*유도등 설치 높이

피난구,거실유도등 : 바닥에서 1.5m 이상

복도통로,계단통로 유도등 :  1m이하

유도등설치개수 : 객석통로 직선부 길이/4 -1

 

소화용수설비

*수평거리 반경 140m 마다 있어야한다.

*수도 배관 크기 75mm에 100mm.이상의 소화전 접속

 

채수구 : 소방차 2m이내 접근가능한 지점.

 

☆채수구,흡수관 투입구 설치위치

저수량 : 연면적/기준면적(올림) x20m3

1,2층 면적 합계 15000이상 = 7500 

해당x = 12500

 

채수구 설치 (저수량 기준)

20~39 : 1 /   40~99 : 2  /  100이상 : 3

 

가압송수 장치 : 소화수조,저수조가 지표면으로 부터 4.5m 이상 지하에 있을 떄 설치.

 

소화활동설비 , 구성요소 : 연결송수관,연결살수,제연설비

 

연결송수관 

넓은면적의 고층또는 지하 건축물에 설치,화재시 소방관이 소화시 사용 

구성요소 : 송수구,방수구,방수기구함,배관

 

종류

건식(내부 빈 상태,31m미만 or 11층미만)

습식(상시 물 , 31m이상 or 11층 이상)

 

연결살수 설비(지하용).

구성요소 : 송수구(소화용수보급),배관(토너먼트x,8개 이하),살수헤드



제연구역 (평소 닫힘 유지,개방유지시 감지기연동 즉시닫히는 방식)

차압 : 40 이상 (스프링클러 설치시 12.5) 출입문의 개방력 :110N 이하

제연구역 선정 , 방연풍속

 

연기뺴내는건 거실 제연 설비

가둬놓는건 부속실 제연설비

 

*연소방지설비는 주로 지화구

 

*적용기준사항,대상도 암기해야함.

 

*점검 & 확인방법

거실 : 감지기 작동

확인 사항 : 화재경보발생여부,제연커든 작동여부,

댐퍼가  작동하여 개방되는지

배풍기,환풍기 등이 정상작동하는지

 

부속실

감지기 작동

화재경보발생여부,댐퍼작동여부,송풍기,전실내 차압측정

(40 이상 / 스프링클러 설치시 12.5 이상)

방연풍속 측정 -> 복구

 

☆스프링클러헤드 개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