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0강.음운론 - 모음조화,축약,탈락 모음조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 *양성모음 :ㅏ ㅗ 계열(ㅑ ㅛ ㅒ ㅚ 등) / 음성모음 : ㅓ ㅜ ㅡ 계열 (ㅕ,ㅠ,ㅢ,ㅖ 등) *현대국어에서 모음조화가 규칙적이지 않음 (고전 문법에만 쓰임) 음운의 축약 (탈락아니고 합쳐진거임) 1)자음축약 : 예사소리 + ㅎ 와 만나면 거센소리가 되는 것. (ㄱ ㄷ ㅂ ㅈ + ㅎ -> ㅋ ㅌ ㅍ ㅊ) ex) 먹히다[머키다] / 닫히다[다티다]*축약->[다치다] 구개음화 / 잡히다[자피다] / 꽃히다[꼬치다] *ㅎ의 위치와 상관없음 / 좋다[조타] *주의할 것☆ :띄워쓰기 해도 적용됨 ex)낮 한떄[낟 한때] *음.끝 - [나탄떄] *축약 / 온갖 힘[온갇힘]*음.끝 -> [온가팀] *축..
9강 음운론 - 구개음화,모음동화 구개음화 : 입천장소리(ㅈ,ㅊ)로 만드는 것 끝소리가 ㄷ,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 나 반모음 ㅣ 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와 만나면 ㄷ,ㅌ이 구개음(ㅈ,ㅊ)로 바뀌는 현상. ㄷ,ㅌ + ㅣ(형식형태소) -> ㅈ,ㅊ *형식형태소 : 조사,어미,접사 (혼자 못 쓰는 애들) ex) 굳 + 이 -> [구지] / 같 + 이 -> [가치] / 해돋+이 [해도지] / 벼훑+이[벼훌치] 밭+이[바치] *구개음화 / 밭 + 을[바틀] *연음 / 밭+에[바테]*연음 밭+이랑[바치랑]*구개음화 , [밭니랑]*ㄴ첨가 -> [받니랑] *음절 끝소리 규칙 -> [반니랑] *비음화 붙 + 여[부쳐] *구개음화 -[부처] *표준발음법 5항(단모음화) 맏+형 [마텽]*자음축약 잔디[잔지x,잔디] * 한 음절..
18강. 소방력의 동원 . 화재예방조치.화재경제지구의 지정 2.소방력의 동원 해당 시,도의 의 소방력으로 원활한 소방활동이 힘들거나 국가적 차원의 소방활동일 떄 1)동원 요청 - 소방청장이 각 시도지사에게. 2)동원된 소방력의 지원,파견 요청 - 소방청장이 각 시도지사에게. 3)동원된 소방대원은 - 상황이 발생한 소방본부장,서장의 지휘에 따른다. *소방청장이 직접 소방대 편성시 - 소방청장의 지휘에 따른다. *발생한 경비의 부담에 관한 사항 - 대통령령(국고보조) *발생한 경비의 부담은 상황이 발생한 시,도에서 부담하는게 원칙 *동원된 민간인력이 부상,사망 등 시에도 시도의 의례에 따라 시,도에서 부담 화재예방과 경계 화재 예방 조치 (화재 발생전 대비) 1) 명령권자 : 소방본부장,서장 관계인에 대하여..
17강.소방용수시설 설치기준,응원 소방용수시설 설치 기준 / (소방학개론 26강 소방용수시설이랑 겹침) 1.공통기준 1)주거,상업,공업지역 - 수평거리 100m 이하가 되게 설치 2)그 밖의 지역 - 수평거리 140m 이하. 2.개별기준 1)소화전 - 지상식 / 지하식 *연결금속구 : 65mm / 상수도와 연결 2)급수탑 - *기준 급수배관구경 100mm이상 / 개폐 벨브(눈 높이) : 지상 1.5m(어꺠 높이) 이상 1.7m 이하(머리높이) 3)저수조 : *4.5 m 이하(낙차) / 0.5m 이상 (수심) / 60cm 이상 (흡수관 투입구 구경) *소방펌프차 접근이 용이 / 토사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상수도에 연결되어 자동급수. *지면으로부터 0.5m(무릎) / 1m(허리) / 2m(손 들어올린끝) ..
29강.계급 정년 연령정년,근속 승진 소방총감 - 정감 - 감 - 준감 - 정 - 령 - 경 - 위 - 장 - 교 - 사 계급 정년: 4 6 11 14 근속승진(왼
5강.청동기~철기 시대 (2) 토기 변화 (~토기) 신석기 덧무늬 / 이른민무늬 / 눌러찍기무늬 / 빗살무늬 청동기 덧띠새긴무늬 / 민무늬 붉은 간토기 / 미송리식(손잡이) 철기 덧띠 검은간토기 *미송리식토기는 양 옆에 손잡이 존재 / 고조선 세력범위 증거 청동기 신앙 : 선민사상 등장(천손사상) 예술활동 : '암각화'(바위그림) ex) 울산(울주)반구대 암각화 (동물그림 / 사냥기원) / 고령 양전동알터 암각화(기하학그림 / 농경풍요기원) 철기시대 ( BC 5 c 중국에서 철기문화 전래) *본격적인 보급은 BC 2 c 초 위만 떄 시작. / 철기시대 떄도 청동기 사용함.(제사도구로만 씀) 한반도 독자적 청동기 변화 : 비파형 동검(무기) -> 세형 동검 / 거친무늬 거울(제사도구) -> 잔무늬거울 *거..
4강 청동기~철기시대 (BC2000~1500 ) 1세기(1c) = 100년 / 100자리 +1 = 현재세기 0~100 = 1c -> 100~200 2c -> 200~300 3c ~30 전반 / 30~60 : 중반 / 60~99 : 후반 / 말 도구 : 청동기(무기,의식용도구/구리+아연) / 발달된 간석기 (농기구 -☆반달돌칼,바퀴날도끼,옴자퀴) *청동기는 북방(시베리아)에서 우리나라로 전래됨 / 철기는 중국에서 옴. *무기 :비파형동검 / 의식용도구 : 거친무늬 청동거울 , 청동방울(팔주령) *청동기는 농기구로 사용 x *벼농사 시작하면서 농경,목축 비중(그래도 밭농사 메인) up & 사냥채집어로 비중 축소 유적지 : 부여 송국리 , 여주 흔암리 , 서천 화금리 , 순천대곡리 사회생활 : 사유재산 존재 ..
3강.신석기시대. 도구 : 간석기 / 가락바퀴&뼈바늘(옷,그물 제작-직조생활) / 토기(빗살무늬) 농경사회(밭농사,조,피,수수 등 잡곡,벼x) / 목축사회 정착생활 / 평등사회(연장자,경험많은 부족장은 존재) / 모계사회 / 족외혼(근친혼x) 유적지 : 황해도 봉산 지탑리 (탄화 좁쌀) 주거지 : 움집 (강가,해안가) / 반지하형 갈판,갈돌사용 (맷돌 원형) 신앙 애니미즘(자연물(정령신앙) - 해,달,별 숭배) 토테미즘 - 특정 동물 숭배(곰,호랑이) 샤머니즘 - 무당 - 굿,주술 조상,영혼숭배 *무당 - 치례걸이 두름(조개껍데기 같은 장식물) 패총 -조개더미 유적지 :서울 암사동(움집,빗살무늬/유일 패총x) / ☆부산 동삼동(패총o,흑요석기-일본 규슈산) *일본 교류 증거 김해 수가리 / 제주 고산리 ..
2강.구석기시대 선사시대의 생활 시대 구분 / 문자 사용 여부 (사용x - 선사(보통 구,신석기/ 사용 o - 역사 *보통 청동기부터/ 우리는 철기부터) 구석기시대 ( B.c 70만년 ~ BC 8000년) *현재 우리나라 기준임(가장오래된거 발견된게 단양금굴유적지) 도구 : 뗀석기 *가공기술 발달에 따라 구석기 전기,중기,후기(잔석기/중석기) 구분 전기 - 1 도구로 다용도 사용 / 주먹도끼- 사냥,조리,공구로 다 씀 중기 - 1 도구 1 용도 / 돌격지 사용 - 돌 조각 사용 / 용도별 도구는 안외워도됨 후기 - 1 도구 1 용도 / 돌날격지 사용 - 날카로운 돌 연결 / 슴베찌르게 - 이음도구 *해빙기 / 작은 애들 출현 -> 잡으려고 슴베찌르게 출현 생활(의식주) : 옷x(가죽만걸침) / 사냥채집어..
1강.역사의 이해~선사시대의 시작 한국사의 바른 이해 고려왕조,조선왕조 외우기 소방 - > 소방사 필수 : 국사,영어,국어 선택은 배점이 환산하면 70임. 필수과목 위주 공부. 전 근대사+근현대사 B,c70만년 전 / 1863년(흥선대원군/고종) 이후 근현대사. 전근대사 15 근현대사 5 / 소방은 반반 수준. 정치사 , 사회사(잘안나옴) / 경제사 / 문화사 사실로서의 역사 - 객관적 사실만 기록 기록으로서의 역사 - 역사가의 주관 들어감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보편성: 공통점(한자문화권) 특수성: 차이점(그 민족의 자연환경,인물성에 따라 설정됨) 우리나라 한중일 보편 : 한자사용 특수 : 중국 - 간자체 / 일본어 - 히라가나 / 울나라 - 한자 / 젓가락 길이도 다름 중국의 유학은 인 강조 /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