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강 모음과 소리의 길이
*단 모음 구분☆
혀 위치 | 전설 5 | 후설 5 | |||
혀의 높이 | 입술모양 | 평순 | 원순 | 평순 | 후순 |
고모음 | 키 (ㅣ) | 위 (ㅟ) | 금 (ㅡ) | 붕(ㅜ) | |
중모음 | 제 (ㅔ) | 외 (ㅚ) | 어 (ㅓ) | 조 (ㅗ) | |
저모음 | 해 (ㅐ) | 아(ㅏ) |
이중모음(11개) : 혀와 입술모양 변경 , 모음이 2 개 붙음
*단모음 + 단모음으로 이뤄져있지 않다 / 단모음 + 반모음(소리 잘 안나는 거)
*아래중 왼쪽거 다 반모음임 (ㅢ는 ㅣ 가 반모음)
ㅑ = ㅣ ㅏ / ㅕ = ㅣ ㅓ /ㅛ = ㅣ ㅗ / ㅠ = ㅣ ㅜ /ㅖ = ㅣ ㅔ / ㅒ = ㅣ ㅐ
*반모음 ㅣ -> ㅣ 상향 이중모음
ㅘ = ㅗ ㅏ / ㅙ = ㅗ ㅐ / ㅝ = ㅜ ㅓ / ㅞ = ㅜ ㅔ
*반모음 ㅗ ㅜ(w)
ㅢ = ㅡ ㅣ
*반모음 ㅣ -> ㅣ 하향이중모음
반모음 (자음과 모음의 성질을 가짐)
이중모음을 형성하는 이중모음 ㅣ ㅗ ㅜ 를 형성
반 자음이라고도 하며 반달표를 붙여 표시하기도 한다.
모음의 성질을 가짐 : 모음처럼 장애를 받지않는 소리
자음의 성질을 가짐: 자음처럼 하나의 음절이 될 수 없는 소리 (모음이 필요함)
*길게 발음하는건 첫 음절만 (첫눈 x / 눈 o (신체는 짧,스노우는 길게))
*신체는 대체로 짧게 발음함
장단음은 출제율 낮음 (길게말하나 짧게말하나)
*음운의 변동
1.교체
1)대체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 되기
2)동화 : 비음화,유음화,구개동화 / 비음화,유음화는 자음동화라고 했었음
2.축약 : 자음축약,모음축약 (학교문법에선 '반모음교체' 라고도함)
3.탈락 : 자음탈락,모음탈락
4.첨가 : 사앗소리현상(ㄴ첨가) , 반모음첨가 (교재에는 'ㅣ 모음 순행동화'라고 설명)
'소방공무원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8강 음운론 - 음운의 변동 (1) | 2021.01.14 |
---|---|
7강 음운론 - 음운의 변동 (0) | 2021.01.14 |
5강 음운론 - 자음과 모음 (0) | 2021.01.14 |
4강 음운론 - 음운과 음절 (0) | 2021.01.14 |
3강 국어의 특성 (0) | 2021.01.13 |